▲ 무서운 이야기의 세가지 이야기가 담긴 포스터
두마리 토끼를 노렸지만, 한 마리도 잡지 못했다.
미래의 어느날. 화성에서 왔다는 소녀는, 기계(차지연)에게 목숨을 위협당한다. 그리고 자신이 왜 인간이 아닌지, 그리고 인간이 왜 나쁜지에 대해 털어놓는 소녀를 시작으로 영화의 세 가지 이야기가 시작된다.
먼저 여우골은 과거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 먼 과거 그들이 살고 있는 땅은 인간들로 인해 고통을 겪고 있었고, 산 속의 특별한 종족은 그 산을 되살리기 위해 500년이란 세월을 바쳐 산을 소생시켜한다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리고 현재의 어느날. 로드레이서라는 이야기는 제목 그대로 고속도로 위에서의 분쟁에 관해 이야기를 한다. 최근 일고있는 보복운전 논란을 건드리고 있는 이야기는 마지막 장면을 통해서 성악설적 논리와 결국 인간은 다 (부정적으로) 똑같은 종족임을 주장한다. 그리고 마지막 이야기. 기계령은 미래의 어느 시점을 이야기한다. 이 이야기 역시 '알파고'를 중심으로 불고 있는 인공지능. 그리고 가까운 나라등에서는 인간을 닮은 로봇이 대신 주문을 받더라 하는 이야기의 연장선을 보여준다. 그리고 로봇이 고도화되면서 우리가 우려하는 일들에 대한 이야기들도 함께 던지고 있다.
▲ 여우골에 오게된 이생
이처럼 <무서운 이야기>의 세번째 이야기는 세 가지 에피소드가 담긴 옴니버스 스토리를 통해서 인간이 가지고 있는 '나쁨'에 관하여 경고장과 같은 이야기들을 털어놓는다. 즉 '너희 그렇게 하면 안돼' 라는 이야기를 공포로 풀어내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영화가 던지는 이야기는 메시지도 틀도 그닥 와닫지는 않는다. 무서운 이야기는 뭐가 무섭다는 건지 모르겠고, 1980년대 '전설의 고향'에서도 먹힐 이야기를 2016년에 자랑스레 털어놓는다. 무섭지가 않다는 뜻이다. 거기에 잘난 듯이 떠들어놓는 메시지들 역시 진부하다. 차라리 신문 사회면이 훨씬 흥미진진할 것 같은 이야기는 아무리 좋은 이야기도 설교하듯 떠들면 듣고 싶은 사람이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기계령이 보여준 이야기는 '다쓴 부탄 가스통에 구멍내서 버리면, 가스통이 귀신되서 복수한다.'는 소리도 들리기에 코미디가 아닌가 의심스럽기도 하다.
▲ 놀러가는 날, 심하게 다툰 두 사람
마치며...
<무서운 이야기 3>에는 많은 실망이 묻어난다. 이야기를 세 가지나 늘어놓음으로서 많은 것을 보여줬지만, 관통하는 이야기에 공감이 안된다. 계속 너희들 조심하라고 세번이나 반복해서 떠들어대지만, 잔소리같기만 할 뿐 공감되는 부분은 없다는 점에서 실망스럽다. 더구나 새총달인의 이야기에는 현실성도 없다. 나머지 이야기들도 신문에서 들은이야기지만, 감독들의 재해석이 없기에 남의 이야기를 따라하는 느낌이다. 감흥이 없다.
배우들은 최근 '핫'한 배우들이기에 더할 나위가 없지만, 역시 시나리오의 힘은 연기 잘하는 사람도 연기 못하게 만드는 힘이 있다는 것을 재확인하는 순간이었다.
▲ 미래의 어느 날. 로봇에게 공격당하는 예선과 아들
▥ 추천 : 신운을 안 보신 분이라면 심심풀이로... (그런 분이 있을까?)
▥ 비추천 : 우리 경수진을 그런식으로 쓰지 말란말이닷!!!
★ 감자평점 (5개 만점)
- 스토리 : ☆
- 노출 : 없음
※ 예고편
'영화 > 한국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영화의 불편하지 않은 묵직함 - 시선 사이 (If You Were Me, 2015) (0) | 2016.06.23 |
---|---|
한국형 저예산 영화의 빛을 보다. - 양치기들 (The Boys Who Cried Wolf, 2015) (0) | 2016.06.19 |
훌륭한 연기자들을 따라가지 못한 이야기 - 계춘할망 (Canola, 2016) (0) | 2016.06.14 |
사라진 마을에 사라진 스릴러 - 탐정 홍길동: 사라진 마을 (Phantom Detective, 2016) (0) | 2016.06.04 |
뭐죠? 이 망작같은 느낌적인 느낌은? - 엽기적인 그녀 2 (我的新野蛮女友, My New Sassy Girl, 2016) (0) | 2016.05.20 |